2019 원헬스심포지엄
경북대학교 수의과대학 수의내과학
한국수의임상포럼 대회장
해마루 이차진료 동물병원
한국수의임상포럼회장
김영환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석사 (시민사회학)
•전 환경운동연합 활동가
•전 동물자유연대 선임간사
•전 동물권단체 카라 들개예방사업 조사팀장
•전 서울특별시 동물복지가이드라인 t F 위원
•현 사회적참사 특별조사위원회 가습기살균제 조사2과 팀장
1994년~2019년 까지 가습기살균제 참사의 발생과 진행 과정을 설명하고, 원헬스 개념이 가습기살균제 참사 해결에 기여할 수 있는 부분들을 소개함
백도명
•서울대 의대
•l ondon School of Hygiene and t ropical Medicine
•Harvard School of Public Health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
•중증폐질환조사위원회(가습기살균제 1차 판정위원회) 위원장
가습기살균제로 사용된 화학물질의 특성과 그에 따른 호흡기질환의 양상
가습기살균제폐손상의 기전, 그 외 호흡기질환의 양태
화학물질에 의한 동물실험과 인간사례의 차이
황철용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수의피부학 교수
•서울대학교 동물병원 부원장
서울대학교 동물병원에서 2008년 및 2011년 가습기살균제 노출로 인한 폐손상으로 추정되는 의심 사례들에 대한 소개로 특히 2011년 정부의 가습기 살균제 위해성 발표에 앞선 시점에 고양이 환자에서 직접적으로 가습기 살균제로 인한 폐손상으로 의심하게된 의료 기록들을 소개한다.
김현욱
•해마루 이차진료 동물병원 원장
•성남시수의사회 회장
•한국수의응급의학연구회 고문
•한국수의임상포럼 회장
2006년부터 반려견에서 발생한 원인 불명의 간질성 폐렴 주요 사례들의 특징과 질병 경과를 살펴보고 원인규명을 위한 노력들과 사람 가습기 살균제 폐손상 사건과의 연관성을 조명한다 들을 소개한다.
이종현
• technical director, Research institute of environmental Safety and Health,eHR&c c o.
• committee member, c ommittee of relief fund management for Humidifier disinfectant Victims
• Researcher, Project team for unidentified fatal lung disease for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Post-doctor, nOaa /Gle Rl , cile R in University of Michigan
•Ph. d. environmental Science System, Seoul national University
exposure assessment of chemicals
Risk assessment of chemicals in consumer products
t oxicokinetic-toxicodynamic model of chemicals
천명선
• 1997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졸업
• 1999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
• 2003 독일 뮌헨 루드비히막시밀리앙대학교 수의학 박사
• 2017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조교수(수의인문사회학 전공)
개념을 넘어 진료에서 One-Health를 수행하는 것은 수의사에게 중요하다. 인수공통감염병 뿐 아니라 인간동물관계, 질병 정보의 관리와 공유, 동물학대감지, 재난대비등 인간과 동물의 건강과 복지에 기여하는 구체적인 실행 계획의 중요성을 주제로 한다.
안종주
• 서울대미생물학과/서울대 보건대학원 석·박사(환경보건학)
• 전 <한겨레> 보건복지전문기자
• 전 국민건강보험공단 상임이사
• 현 단국대 초빙교수
• 현 사회적참사특별조사위원회 위원(비상임)
• 현 대통령 직속 정책기획위원회 지속가능분과위원장
• 현 서울시명예시장(도시안전) 겸 서울안전자문단장
가습기살균제 참사와 위험한 한국 사회의 민낯
왜 우리 사회만 가습기살균제에 매달렸나?
가습기살균제 참사 왜 조기발견을 못 했나?
가습기살균제 참사로 드러난 전문가집단의 민낯과 윤리
마이크로포비아 사회와 케모포비아 사회의 허실• instrument needed.
정태성
•(주)더파워브레인스 대표이사
•(주)크룩스이앤티 연구개발총괄 연구소장
•법률사무소 메리츠의료전산 전문포렌식 위원
•세계수의학과 학생협의회의료 전산전임 교육위원
•KBVP IT 자문위원
인수 공통 질병에 관한 빅데이터(Big data)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딥러닝(Deep learning) 그리고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이야기하다.
가습기 살균제 참사 그 이후 미래 의료 패러다임
수의학 측면에서 IT 쉽게 접근하고 이야기 해본다
시간 | 세션 | 강좌 | 강사 | 소속 |
---|---|---|---|---|
09:30 | 등록 | |||
10:00 | 개회 | 개회사 | 오태호 교수 | 한국수의임상포럼 대회장 |
10:20 | 세션-1 | 가습기살균제 사건 개요 | 김영환 전문위원 | 가습기살균제 진상조사 위원회 |
10:40 | 사람 가습기살균제 폐손상 사례 | 백도명 교수 |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 |
11:00 | ||||
11:20 | Coffee Break | |||
11:40 | 세션-2 | 개와 고양이 가습기살균제 사례-1 | 황철용 교수 |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
12:00 | 개와 고양이 가습기살균제 사례-2 | 김현욱 원장 | 해마루 이차진료 동물병원 | |
12:20 | 가습기살균제 독성실험 | 이종현 박사 | 환경보건안전연구소 | |
12:40 | ||||
13:00 | Lunch | |||
14:00 | 세션-3 | 원헬스 시점에서 본 가습기살균제 사례 | 천명선 교수 |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
14:20 | ||||
14:40 | 살균제와 환경, 그리고 생명 | 안종주 위원 | 사회적참사 특별조사위원회 | |
15:00 | ||||
15:20 | Coffee Break | |||
15:40 | 세션-4 | 가습기살균제 사건으로 본 예방 시스템 제안 | 정태성 대표 | 더파워브레인 |
16:00 | ||||
16:20 | 패널토의 및 질의응답 | 전체 강연자 | ||
16:40 | ||||
17:00 | 폐회 | 폐회사 | 김현욱 원장 | 한국수의임상포럼 회장 |